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include "../left_inc.htm"; ?>
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|  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| 
         
       
     | 
     
      
         
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
				 
				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설사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복통, 혈변이 주증상이고 우선 변에 피가 섞여 나오며 다량으로 출혈하는 경우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있고,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변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닦았을 때 휴지에 피가 묻는 정도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따라서 흔히 치질 정도로 생각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치하여 오다가 증상이 심해져 발견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일반적으로는 점액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섞인 혈변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오고, 설사가 하루 수회 내지 십수회에 걸쳐 나옵니다. 그 외에 체중감소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식욕감퇴, 피로감,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발열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발생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인은 아직 잘 알려져있지 않습니다. 궤양성 대장염이 예전에는 우리나라에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매우 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귀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병이었지만, 최근 1980년대부터 눈에 띄게 많아졌습니다. 그 이유는 이 때부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제 발전으로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생활수준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크게 향상되어, 식생활에 있어서 육류, 동물성지방, 당분, 우유, 유제품 등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섭취가 증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가되었고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정신적인 면에서는 도시생활에 의한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등, 생활 환경이 선진구미형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으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변해온 것에 원인이 있지 않은가도 생각 할 수 있습니다. 서양에서는 옛날부터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지금의 우리나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비해 훨씬 많은 발병률을 보이고 있습니다.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새로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병이기 때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,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임상 경험이 부족하고, 임상에 대한 통계적 숫자도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현실입니다.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병의 원인이 아직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직 없습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증, 중등증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환자는 내과적 치료(약물요법)에 의해 완해상태를 유도하고, 완해상태를 유지하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방법으로 치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료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고 있습니다. 중증에 대해서도 최근에는 내과적 치료법이 발전 되었기 때문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술을 하지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않고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완해상태로 유도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.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사용약제는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살라조피린이나 메살라진 등과 같은 5-ASA제재를 기본으로 하여 증상에 따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신피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질호르몬(스테로이드)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용되어지지만, 부작용이 있는 약이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지시에 따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라야 합니다. 또 이러한 약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신에 작용하기 때문에 국소적인 작용만 시키고 싶은 경우는 좌약이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장제의 형태로 이용합니다. 좌약이나 관장제는 배변후나 취침 전에 사용합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결국 약의 사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용에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관하여는 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하며 마음대로 과감하게 바꾸는 것은 삼가야 합니다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그 외에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들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약제로 효과가 없는 경우에 면역 억제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수술은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 대장 절제술, 대장 부분 절제술 등이 있는데 병변의 범위와 정도에 따라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선택됩니다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 적출, 부분적 절제의 경우에 일시적으로 인공항문이 필요합니다. 대장을 절제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후 인공항문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든 다음에 수개월 뒤에 소장을 원래의 자연항문에 연결하므로 인공항문은 일시적으로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만드는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것입니다.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|  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| 
       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| 
         
       
    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