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|
|
|
|
|
|
|
|
|
|
|
|
|
include "../left_inc.htm"; ?>
|
|
|
|
|
|
|
|
|
|
|
. |
|
|
변비는
각 사람마다 그 의미가 다른 증상으로써 아직 정확한 정의가 정립되어 있지는
않지만 대개 |
|
|
대변
보는 횟수가 1주일에 2회 이하로 적은 경우이거나 |
|
|
대변의
양이 하루 30 ∼ 35g 이하이거나 |
|
|
전체
배변 횟수 중 25% 이상에서 과도한 힘이 필요 하거나 |
|
|
전체
배변 횟수 중 25% 이상에서 단단한 굵은 변이 나오거나 |
|
|
전체
배변 횟수 중 25% 이상에서 불충분한 배변 느낌이 드는 경우 |
|
의
5가지 사항 중 2가지 이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변비증이라고
진단합니다. 그 중 |
|
에서도
3. 4. 5인 경우를 배변장애 환자로 따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. 원인에 따라
이완성변비, 경련 |
|
성변비,
직장형변비로 나누기도 합니다. |
|
|
|
. |
|
변
비
|
급성변비
|
일과성
변비
|
|
증후성
변비
|
만성변비
|
상습성
변비
|
결정형(이완성)변비
|
직장형변비
|
경련성변비
|
증후성
변비
|
|
|
|
. |
|
|
|
잘못된
생활습관 |
|
|
변이
마려운 것을 억지로 자주 참는다. |
|
|
잘못된 식생활 |
|
|
식사를 거르거나
섬유소가 적은 식사, 수분의 부족 |
|
|
정신적 요인 |
|
|
운동부족 |
|
|
기질적 원인 |
|
|
장내 종양이나
선천성 거대결장 같은 대장의 신경이나 근육의 이상, 디스크가 심한 경우, 당뇨 |
|
|
, 갑상선
기능 저하등이 원인 |
|
|
. |
|
|
|
대장내시경
또는 대장조영술 |
|
|
직장
및 대장내의 대변의 통과를 막는 암이나 용종, 게실, 염증성 장질환등을 발견하기
위한 |
|
|
가장
기본적인 검사입니다. |
|
|
대장 통과시간
검사(장운동검사) |
|
|
배변조영술 |
|
|
인공대변을
주입하여 대변을 보게 하면서 X선 사진을 찍어 직장 항문의 각도, 배변과정을
관 |
|
|
찰하여 직장류,
직장중첩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. |
|
|
항문직장 내압검사 |
|
|
항문 근전도
검사 |
|
|
. |
|
|
|
고
섬유식사 |
|
|
충분한
수분섭취(하루 1.5∼2리터의 물 섭취) |
|
|
규칙적인
배변습관과 좋은 배변자세 유지 |
|
|
긴장
이완과 복근력 강화를 위한 적당한 운동 |
|
|
약물요법 |
|
:
윤활제(미네랄유, 올리브유), 변완하제, 염류성 하제등을 사용하는데,
특히 자극성하제(비사코딜, |
|
둘코락스,
알로에, 동규자차, 센나, 비코사이드, 피마자유등)의 장기간 복용은
장내 신경총을 억제 |
|
하여
장의 무력증을 일으키므로 신중히 복용해야 합니다. |
식품군
|
섬유소가
적은 식품
|
섬유소가
많은 식품
|
곡류
|
흰쌀,
찹쌀, 국수, 감자(껍질제거),
흰식빵
|
현미,
율무, 보리, 옥수수, 귀리, 고구마,
감자(껍질째), 토란, 보리미숫가루,
오트밀, 콘후레이크
|
우유
및 유제품
|
크림스프,
커스터드, 연한 치즈,
푸딩
|
우유,
가당우유, 밀크쉐이크, 아이스크림, 요구르트, 요플레
|
두류
|
두부,
순두부
|
팥,
대두, 강남콩, 완두콩, 된장, 녹두
|
채소류
|
잘
익힌 시금치, 애호박, 당근, 무, 버섯, 오이(껍질제거)
|
쑥갓, 미나리, 상치,
풋고추, 생강, 부추, 고사리, 셀러리, 숙주, 파슬리,
고비, 근대, 쑥
|
과일류
|
과일쥬스,
복숭아통조림,
파파야
※산미가 강한 과일
|
사과,
딸기, 배, 대추, 건포도, 오얏, 무화과, 살구,
파인애플, 감
|
견과류
|
제외
|
밤,
호두, 잣, 아몬드, 땅콩
|
해조류
|
제외
|
김,
미역, 미역줄기, 다시마, 파래, 톳
|
|
|
|
|
|
|
|
|